[인천일보 대학생 서포터즈 1기]

안녕하세요? 핵심만 담아 간결하게 전해드리는 뉴스레터입니다.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레 ‘친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는 추세인데요. 친환경 소비뿐만 아니라, 공기업과 사기업의 ESG 경영 행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천도 이러한 추세에 함께하고 있는데요. 더 자세한 소식 함께 알아보시죠


인천 지역, 지자체와 공공기관

▲ 사진제공=pixabay

인천지역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지난 2022년 기준 3,000억 원 규모의 녹색제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목표 실적을 달성하지 못한 기관도 다수 있었는데, 환경영향을 최소화한 녹색제품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요.

15일 환경부에 따르면 인천 지자체·공기업·지방공기업·출자출연기관 35곳은 2022년 기준 총 3,189억 8,300만 원 규모로 녹색제품을 구매했습니다.


녹색제품, 이렇게 구분돼요!

▲자료제공=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제품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른 에너지·자원의 투입과 온실가스,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제품을 말하는데요.

현재 국기기관과 지자체, 공기업, 출연연구원 등은 녹색제품 구매 의무 제도에 적용을 받아 자체적인 목표에 맞춰 녹색제품을 우선 구매하고 있습니다.


인천의 친환경적 행보 현황은?

인천시와 10개 군·구 구매액은 총 1390억 9,600만 원인데요. 시는 840억 5,300만 원으로, 총괄 구매금액의 49% 수준입니다.

10개 군·구 중 서구는 93억 7,700만 원으로 기초지자체 중 가장 많이 녹색제품을 구매했는데요. 반면 동구는 당초 구매이행계획인 17억 7,700만 원을 달성하지 못한 12억 9,200만 원을 집행했다. 강화군도 60억 9,300만 원 대비 57억 5,300만 원을 구매했습니다.

교육자치단체 중 인천남부교육지원청과 인천북부교육지원청 역시 기존 목표 4억 8,400만 원과 6억 7,200만 원을 각각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지방공기업 중에서는 인천교통공사와 인천의료원을 제외한 나머지 4곳이 구매이행계획을 실현하지 못했는데요. 인천환경공단(21억 2,900만 원), 인천시설공단(6억 4,400만 원), 인천도시공사(4억 8,100만 원), 인천관광공사(1억 3,900만 원) 등입니다.

현재 의무구매 대상 녹색제품인 환경표지, 저탄소, 우수재활용 제품 생산 기업은 지난해 10월 말 기준 5,584개. 품목도 총 2만 840개로, 인천에도 서구와 남동구 등 중심으로 저탄소제품 기업과 환경표지 인증제품 기업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사진제공=pixabay

녹색제품은 사용단계에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복원비용을 절감하는 등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만큼 구매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입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법률상 구매실적을 달성하지 못해도 페널티는 없지만, 지자체의 경우 행정안전부 합동평가 지표로 작용된다. 공공기관 역시 경영평가 지표에 들어간다. 결국 지방비나 성과급을 받을 때 문제가 생기는 것”이라며 “현재 전체적인 친환경 시장을 좀 더 확대하는 목표를 가지고, 구매의무 대상을 확대하려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지난 13일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습니다. 이에 따라오는 2025년부터 정부가 100% 출자하는 기관과 사립학교 등 5,000여 개 기관도 의무구매 적용을 받을 전망입니다.


▲원본기사: 인천 '녹색제품' 3189억 구매…지자체·기관 일부 미달

/대학생 기자단 송지윤